2023.07.20 ㅣ 173호
구독하기 ㅣ 지난호 보기 ㅣ 오늘의 레터 공유하기
님, 요즘 수익률 어떠신가요? 최근 '코주부레터 좋았어요(레터 맨 아래)'에 한 구독자님께서 이런 저런 이야기를 남기시면서 "평균 수익률 30%"라고 적어주셨습니다. 코주부가 얼마나 도움이 됐는지는 모르지만 그저 행복할 따름입니다.
그리고 시드머니가 부족한데 어떻게 늘려서 투자를 해야할지 모르겠다는 분도 계셨는데요. 참 어려운 문제입니다. 에디터들도 초보 시절엔 레버리지 ETF 투자도 해보고, 코인도 살짝 투자해봤는데 초보인만큼 잃을 확률도 높더군요. 결국은 저축 또는 부업이 답이었습니다. 그래서 '심하다' 싶을 정도로 절약하며 살아보기도 했고요. 그렇게 모은 돈(누군가에게는 소액이겠지만요)을 증시 급락기(=곡소리 나는 시기)에 투자하는 겁니다. 잃을 확률이 상대적으로 낮은, S&P500나 나스닥 ETF 같은 자산에요. 지금부터라도 모으기 시작하시면 다음 급락기에 기회를 찾으실 수 있을 겁니다.
📊오늘의 코주부
- 미국 CPI가 청신호인 이유
- 코주부 브리핑
자, 슬슬 시동을 걸어봅니다
지난 12일(현지 시각) 미국 노동부는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이 전년 대비 3%를 기록했다고 밝혔습니다. 5월(4.0%)보다 1%p 낮은 수치이고 2021년 3월 이후 최저치입니다. 물가상승률이 둔화됐다는 신호는 그동안 조금씩 나타나고 있었지만, 이번에는 근원 소비자물가와 근원 상품물가 등도 예상치보다 더 둔화되면서 시장에 확실한 신호를 줬습니다. 그리고 이번 CPI는 금리 인상 종결, 기업 실적 개선, 증시 강세 지속, 중국 등의 본격적인 경기 부양책 등 구독자님들이 그동안 기다려왔던 또 다른 신호들로 이어질 전망입니다. 어떻게 그게 가능한지 짚어보겠습니다.
📈고금리, 이제 곧 안녕
아시다시피 그동안 고금리가 이어진 이유는 물가 상승입니다. 금리를 올려서 물가를 낮추려고 했는데 잘 안 잡혔죠.
그런데 이제 CPI 증가율이 3%까지 내려왔고 미국 정부의 목표치인 2%에 근접하게 됐습니다.
당장은 아니더라도 이르면 올해 하반기나 내년 상반기부터는 미국의 금리 인하가 시작될 가능성이 높아졌단 의미입니다.
물론 그동안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한 말들이 있으니까 7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를 0.25%p 올릴 수는 있습니다. 그동안 '긴축을 더 해야 된다', '6월에 금리를 동결한 건 속도 조절일 뿐' 같은 메시지를 시장에 던져왔으니까요. 이런 상황에서, 6월 CPI에 바로 반응하는 모습을 보인다면(=금리 동결) 시장은 '이제 긴축 끝!'이라며 더 날뛸지도 모릅니다. 그러면 그동안의 긴축이 허사가 될 수도 있으니까 Fed로선 신중할 수밖에 없죠.
그럼에도 고금리의 끝은 이제 멀지 않았습니다. 7월에 인상되더라도 그게 마지막일 가능성이 높아졌고요. 그동안 증시와 경제의 발목을 잡아 온 가장 큰 요인 중 하나가 사라지는 겁니다.
📈기업 실적 개선, 그리고 중국
물가가 안정되면 소비가 회복되고, 그러면 기업 실적도 개선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올해 3분기부턴 더 나은 실적을 기대해볼 수 있는 거죠.
그리고 또 하나 중요한 지점이 있습니다. 미국의 금리가 높은 상황에선 다른 나라들이 좀처럼 경기부양책을 실시하기 어렵습니다. 경기부양책을 한다고 돈을 풀었는데, 정작 그 돈이 고금리를 찾아 미국으로 흘러가버릴 수 있거든요. 투자자 입장에선 안정적인 나라, 기축통화인 달러, 금리가 높은 시장을 따라 움직이지 않을 이유가 없으니까요.
그런데 드디어 미국 물가가 잡히고 금리도 내려간다면, 경기부양책을 써볼 수 있게 됩니다. 그동안 투자자들이 기다려왔던 중국 등의 경기부양책이 대규모로, 제대로 실시될 여건이 마련된단 뜻입니다. 물론 그 시점이 언제쯤일지는 정확히 짚기 어렵지만 일단은 기대감을 가져볼 만합니다.
그렇다면 지금부터는 더더욱 실적 개선주 또는 업종을 눈여겨볼 필요가 있습니다. 또 기준금리 인하의 수혜를 크게 입을 성장주, 중국 경기부양책 수혜가 기대되는 국내 경기민감주(정유화학, 철강, 건설 등)나 한류 관련주, 중국 ETF도요. 그동안 중국 경기가 부진해서 리오프닝에 대한 기대감이 자꾸 깨졌기 때문에 신중해야 하겠지만 장기적으로 본다면 지금 시점에 중국 투자도 괜찮은 선택일 겁니다.
✅에코프로, 어디까지 가나요
에코프로 주가가 지난 18일 110만원마저 넘어섰습니다. 증권 전문가 분들도 그렇고, 팀 코주부들도 최근 에코프로 이야기를 하지 않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다소 비정상적인 주가 상승이기 때문이죠. 호재가 없는 것은 아니지만 너무 올랐고, 증권사들도 목표주가 산정을 포기했습니다. 이런 주식에 투자하는 건 도박이나 다름없죠. 관련 기사 전해봅니다.
✅집주인 확인 없이도 임차권등기 가능
19일부터 전세 보증금을 지키기 위한 안전 장치인 ‘임차권등기’를 집주인 확인 없이도 할 수 있게 됐습니다. 이전까지는 법원의 임차권등기명령 결정이 집주인에게 송달됐다고 확인돼야만 임차권 등기가 완료됐기 때문에 집주인이 피하면 그만이었는데요. 임차권등기를 마친 세입자는 이사를 나가더라도 보증금을 돌려받을 권리가 유지됩니다.
오늘의 코주부 레터는 여기까지
팀 코주부가 당신의 성투를 빕니다. 다음 호에서 또 만나요!
오늘의 코주부레터는 어땠나요?
좋았어요! 🤗ㅣ 아쉬웠어요🥺
유익하셨다면, 구독링크 https://bit.ly/364khAg 널리 공유해 주세요🙆♀️
콘텐츠 협업 문의👇
💌kojubu@sedaily.com
코주부 구독하기
공유하기
트윗하기
웹에서 보기
코주부레터
kojubu@sedaily.com
서울시 종로구 율곡로 6 서울경제신문
수신거부 Unsubscribe
'Finan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코주부레터 - 💸권오현 고문님이 추천한 반도체 책에...(선물) (0) | 2023.08.26 |
---|---|
코주부 레터 - 💸 아파트를 주웠다...? 줍줍의 모든 것 (0) | 2023.08.17 |
코주부레터 - 💸남들 관심 없을 때 제약&바이오 (0) | 2023.07.19 |
코주부 레터 - 💸금-은은 됐고, 이제는 백금 (0) | 2023.06.21 |
코주부레터 - 💸 수익률 몇 % 나왔습니까 휴먼? (0) | 2023.06.05 |
댓글